“도쿄서 미친 경험” 여행객 피 철철…‘이것’ 속수무책? 日 충격 근황
하승연 기자
수정 2025-10-11 14:00
입력 2025-10-11 14:00

일본 대표 여행지로 꼽히는 수도 도쿄에서 길거리를 걷던 한 외국인 관광객이 쥐에게 물려 다쳤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국적의 한 여행객은 지난 9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최근 신주쿠의 길거리에서 쥐의 공격을 당했다고 밝혔다.
공개한 영상에서 여행객의 발과 주변 도로는 피로 얼룩져 있었으며, 여행객의 발에는 이빨 자국으로 추정되는 자국이 선명했다. 발에는 시퍼런 멍이 들어 있었다.
여행객은 호텔에서 나와 길을 걷던 중에 갑자기 쥐가 나타나 자신의 발을 물었다고 했다. 이어 “도쿄 신주쿠, 시부야는 쥐들로 가득했다”며 “도쿄의 밤은 실망스러웠다”고 토로했다.
그는 곧바로 구급차를 불러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의료진 대부분이 영어를 하지 못해 의사소통이 어려웠다”고 했다.
이어 “응급실 의사가 상처를 보더니 놀란 듯한 표정을 지었다”며 “항생제를 투여받고 약 한 시간 뒤 귀가했다. 정말 미친 경험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에서 끔찍한 일을 겪게 해 미안하다’는 댓글에는 “단지 운이 좋지 않았다”며 “나는 일본에서 좋은 시간을 보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 산케이신문 등은 신주쿠 등지에서 쥐가 잇따른다는 불만이 이어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식당 관계자가 길가에 내놓은 쓰레기봉투, 신주쿠역 주변의 좁은 골목길과 배수구 주변으로 쥐가 몰려들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신주쿠구는 쥐약을 설치하는 등 방제 작업에 나섰다고 밝혔다.

쥐 개체수 증가는 국제적인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따르면 미국·일본 등 16개 도시 중 13곳에서 쥐 개체 수가 증가했으며, 워싱턴DC는 최근 10년간 쥐가 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쥐 개체 수 증가는 보건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쥐는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치명률이 높은 질환을 옮기는 주요 매개체다.
쥐의 소변이나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신증후군출혈열은 고열과 신부전 등을 유발하며 치사율이 최대 15%에 달한다.
또 다른 질병인 렙토스피라증 역시 발열과 근육통을 일으키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두 질병 모두 별도의 백신이 없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승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