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 가을철 74% 집중… 추석 성묘 뒤 2주간 발열 주의

이현정 기자
수정 2025-10-04 11:00
입력 2025-10-04 11:00
SFTS 환자 167명…전년보다 87% 급증
9월 말부터 털진드기 활동 본격화
긴팔·기피제·샤워…야외활동 후 필수

광주 북구 제공
추석 연휴 성묘나 벌초를 다녀온 뒤 1~2주 안에 갑작스러운 열과 두통이 생기고 피부에 검은 딱지가 나타나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해야 한다. 구토와 설사에 고열까지 나타난다면 치명률이 높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증과 SFTS 환자의 74% 이상이 가을철(9~11월)에 집중됐다. 특히 올해 8월 말 기준 SFTS 환자는 167명으로 전년 동기(89명)보다 87.6% 늘었다.
반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2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63명)보다 79% 감소했지만 10월부터 본격적으로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 털진드기는 평균기온이 20도 이하로 내려갈 때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뒤 10일 이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SFTS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뒤 5~14일 후 고열과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이 발생한다. SFTS는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고 치명률이 18.5%에 달해 초기 대응이 특히 중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추석 연휴 성묘나 농작업 등 야외활동을 할 때 반드시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긴팔과 긴바지를 입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며, 양말과 장화를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한다.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풀밭 위에 앉거나 눕지 말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해 햇볕에 말린다. 귀가 후에는 바로 샤워하고 옷을 세탁하며, 머리카락·귀 뒤·무릎 뒤·사타구니 등 진드기가 붙기 쉬운 부위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발열이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면 감기 몸살로 여기지 말고 곧바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의료진에게 성묘나 벌초를 했다고 알리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