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아플 때 당황하지 말고…문 여는 병원·약국 찾는 법

이현정 기자
수정 2025-10-03 16:10
입력 2025-10-03 09:08
문 여는 병원·약국 하루 평균 1만5000곳
응급의료포털로 실시간 진료 기관 확인
아이 아프면 ‘아이안심톡’…24시간 상담 지원

연합뉴스
추석 연휴(3~9일) 동안 갑작스러운 통증이나 열이 나면 무작정 대형병원 응급실로 향하기보다 가까운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다. 경증이라면 즉시 치료를 받을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상급병원으로 이송된다. 보건복지부는 연휴 기간 하루 평균 약 8800여 개 병·의원과 7000여 개 약국을 지정해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진료 가능한 곳을 찾는 방법은 간단하다.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이나 ‘응급똑똑’ 앱을 이용하면 문을 연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약국의 위치와 진료 과목, 운영 시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포털에서 ‘응급’ ‘문 여는 병원’을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로 바로 연결되고, 국번 없이 129(보건복지상담센터)나 120(지자체 콜센터)에 전화해도 안내받을 수 있다.
응급 정도를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응급똑똑’ 앱이 도움이 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을 바탕으로 중증과 경증을 구분해 경증 환자는 가까운 병·의원을 안내하고, 중증이 의심되면 응급실 방문을 권고한다. 호흡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발음이 어려운 경우처럼 중증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는 것이 안전하다. 119 상담을 통해 의료적 조언을 받을 수 있고, 구급대가 상태를 확인한 뒤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한다.
어린이가 갑작스럽게 아플 때는 ‘아이안심톡’(icaretok.nemc.or.kr)을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응급똑똑’ 앱으로 증상을 분류하면 상담이 필요한지, 진료가 필요한지 안내받을 수 있고 상담이 가능할 경우 24시간 전문의와 연결된다. 의료진은 입력된 증상과 과거 병력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가능한 응급처치와 상비약 사용법, 이후 대처 방법을 알려준다.
올해 추석 연휴에는 하루 평균 병원 866곳, 의원 7227곳, 공공보건기관 180곳이 문을 열고 약국도 약 7000곳이 운영된다.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지역응급센터 137곳, 지역응급기관 232곳, 응급의료시설 113곳 등 응급 진료 인프라도 가동된다. 다만 병·의원과 약국의 운영 여부는 현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방문 전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