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트라우마 여전한데…이태원 참사 심리지원 99% 급감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9-30 17:23
입력 2025-09-30 17:23
이태원 참사 심리지원 2022년 5329건→올해 35건
미국은 2090년까지 추적, 한국은 3개월 전화상담
참사 투입 소방대원도 단기 상담, 상설 지원체계 시급

뉴시스
이태원 참사 현장에 투입됐던 소방대원들이 우울증과 불안장애에 시달리다 잇따라 숨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심리지원은 단기간에 끝날 뿐더러, 형식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참사 직후 3개월 동안 평균 상담 1~2회에 불과했고, 대부분 전화 통화 수준에 머물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치유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데다 체계적인 추적 관찰도 이뤄지지 않았다.
반면 미국은 9·11 테러 이후 피해자, 유가족, 대응 인력, 목격자까지 2090년까지 장기 모니터링과 치료를 이어가고 있다. 접근 자체가 다르다. 국내에서도 참사 대응 인력의 마음 건강을 단기 상담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장기간 추적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상설 지원 체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첫해인 2022년 5329건이던 심리지원은 2023년 2059건, 2024년 155건으로 줄었다. 올해 7월까지는 35건에 불과해 99%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소방대원 심리 지원은 소방청에만 맡겨진 상태다. 중앙정부 차원의 심리 지원은 2022년 176건, 2023년 20건, 지난해 5건으로 줄었고 올해는 단 한 건도 없다. 상담 이력도 기관별로 흩어져 통합 관리가 어렵다.
지난해 12월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도 비슷하다. 올해 1월 1250건이던 심리지원은 7월 현재 173건으로 86% 급감했고, 대응 인력 지원은 같은 기간 215건에서 0건으로 전면 중단됐다.
지원 공백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는 소방대원의 죽음이 말해준다.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소방관 A씨는 참사 발생 첫해에만 집중 상담을 받았고, 또 다른 소방관 B씨는 올해 2월 우울증으로 공무상 요양을 신청했으나 불승인 통보를 받았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미국은 재난 규모와 사망자, 유가족 수를 기준으로 파견할 정신건강 전문가 규모를 산정해 현장에 보내고, 기본 서비스도 대면 제공한다”며 “우리는 초기 긴급 심리지원 틀만 있을 뿐 장기 추적·관찰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참사 트라우마는 장기간 이어진다”며 “일회성 지원에 그칠 것이 아니라 맞춤형 장기 심리지원체계를 구축해 연속성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