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신청사 건립, 교육부 중앙투자심사 조건부 통과

서미애 기자
수정 2025-10-28 15:51
입력 2025-10-28 15:51
재정 효율화·도시관리계획 변경 조건 달아 승인
1,300억대 사업비 상승…2030년 이전 본격화
광주시교육청의 신청사 건립 사업이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의 심사를 조건부로 통과하면서 청사 이전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번 심사는 주차장·복지시설 부족 등으로 지난 8월 재검토 결정을 받았던 계획을 보완한 뒤 진행됐다.
광주시교육청은 28일 “신청사 건립 계획이 중앙투자심사위를 거쳐 전날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기존 사업비 1,298억 원에서 138억 원이 증액된 1,300억 원 안팎으로, 주차장과 직원 복지시설 확충 등 미비 시설을 보완한 내용이다.
중앙투자심사위원회는 이번 승인에 ▲지방교육 재정 효율화 방안 마련 ▲신청사 부지의 도시관리계획상 공공청사 전환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달았다. 총사업비 1,300억 원 규모의 대형 사업인 만큼, 재정 운용과 교육사업 추진에 부담이 없도록 효율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아울러 광산구 신창동 현 광주교육시민협치진흥원 부지를 공공청사 부지로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진행해야 한다는 조건도 포함됐다.
시교육청은 중앙투자심사위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광주시와 협의해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내부적으로는 재정 효율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조건부 승인으로 청사 이전 사업은 답보 상태에서 벗어나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청사 건립은 2027년 설계 완료, 2028년 착공, 2030년 이전 완료를 목표로 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증액 규모는 전체 사업비의 10% 수준으로 주차장 등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것”이라며 “조건부 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고, 신청사 이전 사업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 청사(서구 화정동)와 교육연구정보원 3개 동은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전환된다. 전산실과 정보지원과 등 핵심 기능은 유지하되, 시민협치진흥원과 동·서부 학교폭력제로센터 기능을 통합해 생활교육, 학교폭력 예방, 시민 협치 등 지역사회 협력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교육청 신청사 건립이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재정 효율화와 도시계획 변경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으나 2030년 이전 이전이라는 목표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증액 규모는 주차장 추가확보 등으로 전체 사업비의 10% 정도인 138억원 정도”라며 “조건부 사항들을 잘 이행하고 동시에 신청사 이전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