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줄여라”… 초기 진화부터 軍헬기 투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5-07-10 03:43
입력 2025-07-10 03:43

산림청·국방부 합동대응 체계로

해마다 심각해지는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대응 역량을 강화키로 했다. 헬기 보유기관이 참여하는 산불 진화 헬기 합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군 수송기의 투입도 추진한다.

산림청은 9일 국방부와 대형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산불 초기 단계부터 군 헬기를 투입하는 등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지자체 헬기 투입 후 산림청과 군의 진화 헬기가 들어가는데 초기부터 대형 헬기를 투입해 조기 진화로 진화 체계를 개선하는 것이다. 국방부는 군 헬기 40여대를 즉각 투입 전력으로, 추가 증원이 가능한 헬기를 예비 전력으로 편성한다.

특히 공군 수송기(C-130J)에 물탱크를 장착해 산불 진화에 투입하는 ‘공중 진화시스템’ 시범 사업을 2027년 2월 이후 시행한다. 강풍과 야간 등 헬기가 투입하지 못해 산불 확산에 속수무책인 상황에서 항공기 투입은 진화와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다. 장시간 체공이 가능해 공중에서 이동 지휘소 역할도 가능하다. 산림청은 지난해 공군과 수송기를 투입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수송기는 국내 주력 산불 진화 헬기인 카모프 담수량(3000ℓ)의 최대 5배인 1만 5000ℓ의 물탱크를 장착할 수 있어 대형·야간 산불시 진화 역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극한 기상 상황에서 야간 산불 화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군 정보 자산도 적극 활용키로 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기후변화로 일상화·대형화하는 산불 대응을 위해 정부가 보유한 자산을 동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군이 보유한 안보 자산을 산불 진화와 감시 자원으로 투입하는 통합 관리 사례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2025-07-1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