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희 군수 “에너지 대전환은 생존 전략… 영암, RE100 복합도시로 조성”

류지홍 기자
수정 2025-08-25 00:50
입력 2025-08-25 00:50
“대불산단, 재생에너지 최대 소비처
2035년까지 RE100 산단화 이룰 것”

영암군 제공
“에너지 대전환은 이제 국가정책의 흐름이자 지역의 생존 전략입니다. RE100(재생에너지 100%)은 더이상 환경 분야의 이슈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 조건이자 지역의 기회입니다.”
우승희 전남 영암군수는 2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영암을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지역에서 생산한 것을 지역에서 소비)의 RE100 복합도시로 조성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우 군수는 “영암을 중심으로 한 전남 서남권은 태양광과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고 있어 재생에너지 지산지소를 가장 빨리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이라며 “특히 서남권 경제의 심장이자 조선업 밀집 지역인 대불국가산업단지는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소비처로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RE100 산업단지 전환이 바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우 군수는 또 “삼호읍 나불도 인근의 광활한 부지에는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수도권 글로벌 기업이 이전해 추가 RE100 산단을 조성할 수도 있다”며 “국정기획위원회가 에너지 대전환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RE100 산단 입지 여건으로 제시한 ‘재생에너지가 풍부하지만 낙후된 지역’과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대불산단은 이미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2024년 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및 운영사업’에 선정돼 건물 지붕과 주차장 부지 등 6곳에 14㎿ 규모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고 5㎿h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우 군수는 “영암호에 610㎿급 대규모 수상 태양광과 1500㎿급 간척지 태양광 발전단지를 건설해 2030년부터 대불산단에 전력을 공급하고 2035년까지 RE100 산단화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업도시 삼포지구에는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 수소 생산시설을 구축해 수소 충전소와 수소 연료전지를 설치, 태양광 발전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RE100 산단에 전기와 온열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RE100 산단과 대기업 유치로 유입된 인력의 정착을 돕기 위한 에너지 자립 그린시티를 조성하는 방안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영암 류지홍 기자
2025-08-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