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공중전 핵심 전투장비 ‘디스플레이 헬멧’, 예산 부족에 조종사 5명이 1개 돌려쓴다

류재민 기자
수정 2025-10-23 00:56
입력 2025-10-23 00:35
공군 HMD 예산 200억에 그쳐
2027년까지 40여개 구매 수준
향후 구체적 확보 계획도 없어
연합뉴스
공군 주력 전투기인 KF-16 조종사들이 예산 부족으로 핵심 전투장비인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HMD)를 확보하지 못해 5명이 1개를 돌려써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22일 파악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황명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군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군이 KF-16 전투기에 도입할 HMD 구매 예산이 40여대 확보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HMD는 조종사가 시선을 향한 방향으로 미사일을 조준할 수 있게 해주는 첨단장비다.
전투 중 계기판을 확인해야 하는 부담을 덜고, 시야에서 안 보일 위치까지 투시하게 해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공중전의 판세를 가르는 장비로 꼽힌다.
공군은 KF-16 성능개량사업을 통해 HMD 운용을 위한 내부 배선까지 설치했지만 예산 부족으로 HMD는 채택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공중전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현존전력극대화 사업’을 통해 HMD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공군이 확보한 예산 200억원 정도로는 2027년까지 40여개 정도만 구매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는 KF-16 전체 조종사 대비 약 20% 정도로 결국 돌려쓰기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HMD는 조종사별로 정밀 보정과 훈련이 필요한데다 신체적 조건 등이 많이 다를 경우에는 돌려쓰기마저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40여대 보급 이후 구체적인 추가 확보 계획은 없는 상태라고 한다.
황 의원은 “조종사별 지급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HMD는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며 “국방부는 임시방편이 아니라 실질적 전력강화를 위한 보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재민 기자
2025-10-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