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반도체 中매출 15% 美정부에 낸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25-08-11 23:48
입력 2025-08-11 18:16

저사양 H20 수출 허가 받는 조건
블룸버그 “美기업사 유례없는 일”
230억弗 팔 경우 美 34억弗 받아

세계 인공지능(AI) 칩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한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내기로 하고 반도체 중국 판매 허가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 AI 칩 1, 2위 기업인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 시장에 대한 반도체 수출 허가를 받는 조건으로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의 소식통은 엔비디아가 중국 내 H20 칩 매출의 15%를 정부에 내기로 동의했으며, AMD도 MI308 칩 매출의 15%를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번스타인은 올해 엔비디아의 H20 중국 매출을 약 230억 달러(약 32조원)로 추정했다. 이 경우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로부터 약 34억 5000만 달러(4조 8000억원)를 확보하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렇게 받은 자금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수익 공유형’ 수출 허가는 유례를 찾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매출의 15%를 정부에 지불하는, 이른바 ‘수출세’는 미국 현대 기업사에 유례없는 일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부터 전임 조 바이든 정부가 AI 칩의 성능을 제한했던 것에서 더 나아가 엔비디아의 중국용 저사양 H20칩의 수출을 아예 금지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뒤 AI 칩의 중국 수출을 재개한다고 지난달 15일 중국을 방문해 직접 밝혔다. 하지만 미국 정부의 수출 허가가 나지 않자 황 CEO는 지난 6일 다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만났고 미 상무부의 허가가 나왔다. 이날은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날이기도 하다.



한편 중국 측은 엔비디아 칩에 악성 코드가 깔렸을 가능성이 있다며 보안 위험을 제기했다. 지난달 31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 관계자를 소환해 칩의 위치 추적 기능 등 안전 문제를 경고했다. 중국 관영 언론인 인민일보와 중국중앙(CC)TV도 “중국은 백도어(악성 코드)가 있는 칩을 사지 않을 것”이라며 엔비디아를 압박했다.

윤창수 전문기자
2025-08-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