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100% 관세’ 예고에 韓 세트·부품업계 촉각

이범수 기자
수정 2025-08-10 23:49
입력 2025-08-10 18:48
파생 상품에 PC 등 포함 땐 부담
가격 압박·수요 감소 이중고 우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반도체 파생 상품 목록 등을 조만간 발표할 전망이다. 지난 4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스마트폰, PC 등 전자제품도 반도체 범주에 포함된다”며 “미국 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반도체가 포함된 파생 상품 역시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세트업체 관계자는 “스마트폰, PC 등이 반도체 파생 상품에 포함되면 판매 가격을 유지하는 데 부담이 커진다”며 “어쩔 수 없이 가격이 오르면 미국 내 수요가 줄 수밖에 없고 이는 반도체와 부품 수요 전반에 사이클처럼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철강·알루미늄 사례처럼 파생 상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세트사는 부담을 부품업체에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부품업체는 가격 인하 압박과 수요 감소라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된다. 실제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지난 7일 기자들과 만나 “세트 가격이 오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업체에 가격 인하 압박이 가해질 수 있어 이를 어떻게 협의하고 대비할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국내 부품업계는 이미 미 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로 한바탕 곤욕을 치른 바 있다. 삼성전기는 앞서 미 정부가 멕시코에 30%의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현지 공장 건설 계획을 유보한 상황이다. 이후 멕시코는 90일의 유예기간을 인정받아 2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LG이노텍, 삼성디스플레이 등 국내 부품업체들이 주요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베트남에도 앞서 46%의 관세 부과가 발표돼 비상이 걸렸다. 이후 베트남은 협상을 통해 20%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반도체 관세 면제 혜택을 제공하더라도 이는 직접 미국에 수출하는 물량에 한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완제품의 경우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어 향후 면제 범위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2025-08-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