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2천억 투입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 추진

류지홍 기자
수정 2025-11-10 10:15
입력 2025-11-10 10:15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에 무안 등 5개 시군 7개 지구 선정
전남도는 지난 8월 1시간 동안 142.1mm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큰 피해를 입었던 무안군 무안읍 등 7개 지역의 하수도 정비를 추진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지정하는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에 무안군 무안읍과 나주시 산포면, 금천면, 담양군 고서면, 강진군 강진읍, 장성군 장성읍, 서산면 등 5개 시군 7개 지구가 선정됐다.
해당 지역에는 국비 1240억 원과 지방비 827억 원 등 총사업비 2067억 원이 투입돼 하수관로 정비와 빗물저류시설 및 빗물펌프장 설치, 빗물받이 확충 등 도시 침수 대응사업이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기후부가 지난 10월 30일 전국 17곳을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새롭게 지정했다.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지역’ 제도는 침수피해가 반복되는 구역을 대상으로 지자체 신청을 받아 선정위원회 현장 실사를 거쳐 최종 지정하며 선정 시 도시 침수 대응사업에 필요한 국비를 최대 60%까지 지원한다.
전남도는 올해 7~8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가 잦았던 무안군 무안읍과 나주시 산포면, 금천면 등 7곳의 지정을 건의해 모두 선정됐다.
전남도는 올해까지 총 34개 지구가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돼 총사업비 5682억 원을 투입했다.
12개 지구는 사업을 완료해 침수를 예방하고 있고 14개 지구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8개 지구는 사전 행정절차 및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김정섭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호우로 도시 침수가 빈번해지는 만큼 침수 피해 극복을 위한 도시 침수 대응 사업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침수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중점관리지역을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