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쩍’ 하는 순간, 깨어나는 관객의 눈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25-07-22 00:05
입력 2025-07-22 00:05

송은미술대상 권아람 ‘피버 아이’

깜빡이는 패널로 감각 혼란 유도
이미지 확대
피버 아이
피버 아이


사방을 둘러싼 발광다이오드(LED) 패널. 스크린은 관람객의 시선을 잡아먹을 듯한 붉은색으로 몰입을 유도한다. 깜빡, 갑자기 깜빡거리기 시작한 화면은 잊고 있던 자신과 LED 패널 간의 거리를 깨닫게 한다.

권아람의 개인전 ‘피버 아이’가 서울 강남구의 전시 공간 송은에서 열리고 있다. 2022년 제21회 송은미술대상전 대상을 받은 작가의 수상 기념 개인전이 3년 만에 꾸려졌다.

전시의 대전제는 ‘의심하라’다. 권아람은 디지털 세계에 대한 믿음을 의심하며 미디어 설치를 기반으로 한 작업을 통해 질문하는 작가다. 또 LED, 스크린, 영상 및 사운드를 활용해 감각의 혼란과 인식의 전복을 유도한다. ‘당신이 지금 충혈된 눈으로 몰입하는 것이 진짜가 맞느냐’고 끊임없이 묻는다.

전시장 외부 미디어월에는 붉은 전시 포스터가 영상으로 나온다. 단순한 홍보 스크린으로 생각했던 관람객은 이내 해킹당한 것처럼 변한, 파편이 난무하는 화면에 당혹감을 느낀다. ‘핵스’(Hacks)라는 작품으로 하나의 이미지가 디지털 네트워크를 경유해 다양한 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보여 주면서 스크린을 통해 드러나는 가능성에 주목한 작업이다.

전시명과 동명의 신작인 ‘피버 아이’는 LED 패널에 ‘생소화 효과’, 혹은 ‘낯설게 하기 효과’라 불리는 연극 연출 기법을 끌어왔다. 독일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이 기법을 통해 관객이 연극에 감정이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낯설게 관찰하기를 의도했다.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사회적 문제에 참여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권아람은 강렬한 붉은색을 내세워 과열된 현재를 함의한다. 또 소리 없이 갑자기 깜박거리는 형식으로 관람객의 몰입력을 차단한다.

대상 수상작이었던 ‘월스’는 작가가 처음으로 LED 패널을 활용해 완성한 작업이다. 조각난 스크린에 거울을 결합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욕망의 과녁이 된 스크린을 상징적으로 시각화한다. 지하 2층에서 선보이는 신작 ‘백룸스’는 ‘월스’의 연장선에 있다. 그물처럼 뒷면이 투과되는 망사형 LED를 통해 무한하게 중첩되는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안을 담아낸다.



송은미술대상은 국내 미술작가를 지원하고자 2001년 제정됐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2000만원의 상금과 3년 이내 개인전 개최를 지원한다. 전시는 다음달 9일까지.

윤수경 기자
2025-07-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