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차세대 전투기도 빨리 나오나? 연구개발에 AI 모델 ‘딥시크’ 활용 개시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5-04 20:09
입력 2025-05-04 17:14

중국이 차세대 전투기 연구 개발에 자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활용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항공공업집단 산하 선양항공기설계연구소(SAC)의 수석 설계사 왕융칭(60)은 전날 관영 중궈신원왕이 공개한 인터뷰에서 “우리 팀이 이 AI 기술을 사용해 전투기 신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왕융칭은 또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AI의 기술인 거대언어모델(LLM)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에 관한 심층 연구도 수행했다”면서 “이 기술은 이미 미래의 항공우주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법을 제공하며 유망한 응용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구원들이 지루한 검토 작업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연구 작업에 몰두할 수 있도록 AI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이는 중요한 단계이며 향후 항공우주 분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고 덧붙였다.

선양항공기설계연구소는 중국 해군 함재기 J-15,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 등을 개발해온 기관이다. 왕융칭은 이 연구소에서 40년 가까이 근무한 고위급으로 중국 관영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왕융칭은 또 이 매체에 J-35의 새 파생형과 다목적형, 공중·해상 이중 역량을 갖춘 버전 등의 개발도 “계획대로 안정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J-35는 중국이 자체 개발하고 있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로 2014년 처음 공개됐다. 2017년 실전 배치된 J-20에 이어 중국의 두 번째 5세대 전투기다. 중국 매체들은 J-35가 항공모함 함재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선전해왔다.
중국은 J-36과 J-50으로 알려진 6세대 스텔스 전투기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라이벌 F-47과 마찬가지로 꼬리날개가 없는 것이 특징으로, 현 5세대 전투기보다 한 차원 높은 스텔스 성능과 AI, 유·무인기 복합체계, 드론 조종 능력, 레이저 무기 등을 갖추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