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 보존된 ‘신종 익룡’ 알 화석, 최초 발견

송혜민 기자
수정 2014-06-07 15:27
입력 2014-06-07 00:00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현생 파충류의 조상인 익룡의 알 화석이 최초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신장에서 발견한 이 화석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종 익룡의 것으로 추정된다.

일명 ‘Hamipterus Tianshanensis’라 이름 붙여진 이 익룡은 지구상에 서식하던 척추동물 중 육지에서 하늘로 서식지를 옮긴 최초의 파충류다. 날개와 비행능력을 가졌지만 현생 조류와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번에 발견한 화석의 주인은 날개 길이가 1.5~3.3m 가량이로 비교적 큰 몸집을 가졌다. 현생 조류처럼 거대한 둥지에서 서식한 것으로 보인다.

총 5개가 발견됐는데, 대체로 껍질이 얇은 편이며 모두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할 만큼 양호한 것 역시 특징이다.

이 화석의 연구를 이끄는 중국 베이징 사회과학원의 왕샤오린 박사는 “이 익룡이 발견된 지점 근처에 둥지로 활용된 장소가 있다”면서 “이는 위 동물들이 떼를 지어 사는 군서 습성이 있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익룡은 주변 강이나 호수 근처에 둥지를 만든 뒤 알을 낳았고,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래에 묻어두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들은 1억 2000만 년 전 지구에 불어닥친 거대한 폭풍 때문에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도 익룡의 알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된 적은 있지만, 보존상태가 매우 좋지 않거나 둥근 형태가 아닌 납작한 형태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알 화석이 현생 파충류의 일종인 쥐잡이뱀(Rat snake)와 비슷한 종일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공룡에 비해 자료가 턱없이 부족했던 익룡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커런트바이올로지 저널에 실렸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